게시물 검색

Vol.58 발행월 : 2024. 4

close
게시물 검색

휴먼&스페이스 서른둘 우리 시대 젊은 영화인 이시화 “만든 보람 느끼는 영화 만들고 싶어요”

페이지 정보

vol. 53 / 23-08-28 글 정재흔 작가 / 사진 이시화 씨 제공

본문

지난 2021년 부산국제영화제에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부문이 신설됐다. 아시아영화제 중 최초다. 이는 많은 영화감독들이 무대를 OTT로 옮긴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누군가는 현시대를 한국 영화 시장의 위기라고 부르나 세계를 매혹시킨 OTT의 등장은 새로운 기회의 땅이 열린 것이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이시화(32) 씨는 독립영화, 상업영화, OTT를 넘나들며 종횡무진 영화인의 꿈을 좇아 달리고 있는 우리 시대 청춘이다. 경남 출신의 그를 만나 젊은 영화인으로서의 삶을 물었다.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037_9967.jpg
사진 1) 단편영화를 촬영 중인 이시화 씨 



독립영화, 상업영화, OTT 넘나들며 

영화인의 꿈을 좇아 종횡무진  

촬영현장 누비는 우리 시대 청춘

 


‘괴물’을 보고 영화 제작 꿈꾼 소녀


중학생 시화는 어머니와 함께 극장에서 개봉 영화를 봤다. 봉준호 감독의 ‘괴물(2006)’이었다. 괴수 영화는 재밌었다. 그런데 같이 본 어머니는 다른 얘기를 꺼내셨다. “영화가 사회적 메시지를 잘 담았네.” 그 순간 이시화 씨는 영화에 빠졌다.

“영화가 단순히 오락성만을 가진 게 아니라는 걸 그때 느꼈죠. 누가 보면 괴수 영화, 또 누가 보면 가족 영화, 또 다른 누군가는 사회비판 영화라고 여기니까. 영화라는 게 여러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담을 수도 있고 그를 표현할 다양한 요소가 들어 있구나. 영화 한번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그때 처음 했어요.”

그때 영화인을 꿈꾸던 열다섯 아이는 자랐고, 서른둘의 시화 씨는 영화를 만들고 있다.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094_1232.jpg
사진 2) '오! 문희(2020)' 촬영 현장 



연출 못지않게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촬영’


영화 제작에는 제작팀, 연출팀, 촬영팀, 조명팀, 미술팀, 음향팀 등으로 역할이 구분된다. 시화 씨는 촬영팀 소속이다. 

촬영팀은 연출감독과 시나리오를 시각화하는 일을 한다. 촬영감독은 연출감독 못지않게 작품과 연출감독의 의도 등을 잘 이해해야 하고 각 팀별과 소통을 통해 최상의 결과물을 확보한다.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는 카메라 기종·렌즈를 결정한다. 이때 콘티 작업에 참여하기도 한다. 본격적인 촬영에 돌입하면 촬영 장소와 렌즈, 화면 앵글을 확인한다. 촬영팀원은 카메라나 배우 이동시 초점을 잡거나 렌즈 교체를 돕는 일 등을 한다.  

영화 산업 특성상 팀원들은 대개 팀 감독을 따라 제작에 참여하고 있어 일반적인 산업체와 근무 구조가 다르다. 그는 현재 조형래 촬영감독의 촬영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참여작으로는 ‘길복순(2023)’, ‘콘크리트 유토피아(2023)’가 있다.

그에게 촬영을 선택한 이유를 물었다.

“옛날부터 생각해 봤는데 제가 일기 쓰기나 만화 그리는 걸 좋아했거든요.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한다는 것 자체가 흥미가 있어서 자연스럽게 촬영까지 오게 된 게 아닐까 생각해요.”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127_1051.jpg
사진 3) 이시화 씨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259_105.jpg
사진 4) 이시화 씨 



대학 졸업 후 2016년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문화콘텐츠 아카데미 영화제작 과정 수료

지역 영화계 사람들과 일하며 실전 경험



지역 영화계에서 기량 갈고닦아


시화 씨의 영화계 입문작은 최정민 감독의 ‘프레스(2017)’다. 이후 최 감독의 ‘앵커(2019)’ 촬영도 함께했다. 좋아하는 일을 좇아서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지역 영화계와 안면을 트게 됐다고. 그 인연으로 이상진 감독의 ‘창밖은 겨울(2022)’, 박형진 감독의 ‘생수(2020)’도 만들었다.

지역 출신이다 보니 눈물 없이 들을 수 없는 뒷이야기가 많다. 대학교 3학년 때 1년을 휴학하고 무작정 상경했단다. 경력도 인맥도 없고 방법도 몰라 생활고를 겪었다. 단편영화, 독립장편, 조명팀으로 드라마와 단막극에 참여하면서 발에 땀나도록 일했다. 그때 경험은 첫 연출작이자 자전적 단편영화 ‘발냄새(2016)’의 모티브가 됐다. 

대학 졸업 후 2016년 경남문화예술진흥원 문화콘텐츠 아카데미 영화제작 과정을 수료하며 진주시민미디어센터 등 지역 영화계 사람들과 작업하기도 했다. 이때 김동환 감독의 ‘Jar(2018)’, 이상진 감독의 ‘경화(2018)’, 이승아 감독의 ‘현서(2018)’를 촬영하며 실전 경험을 쌓았다.

“서울에 비해 영화 제작 현장이 많지 않아서 그렇지 지역에서도 영화 제작은 할 수 있었어요. 오히려 서울에 있을 때보다 지역에서 제가 직접 촬영한 경험이 더 많았죠. 다만, 저는 전문적으로 ‘촬영’을 배우고 싶어서 서울로 올라갔어요. 지역엔 연출감독님은 많지만 촬영감독님은 보기 힘들었거든요.”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310_1409.jpg
사진 5) 촬영 중 잠깐 쉬는 이시화 씨 



“재밌어요. 항상 기대되고…  

‘어쨌든 제대로 잘하자’면서 

열심히 일하고 있어요.”



요즘 청년 영화인들의 고민


청년 시화 씨의 요즘 고민거리는 두 가지 정도 된다. 

“진짜 이거 술 마시면서 얘기해야 되는데.(웃음) 같이 일하는 분들과 요즘 종종 얘기하는 게 영화의 자격 변화예요. 코로나19 이후로 제작 편수도 줄었고 드라마가 많아졌고요. OTT 작품이 많잖아요. 제가 참여한 ‘길복순’이 원래는 영화로 인정은 못 받았는데 최근에 영화로 인정됐더라고요. 영화의 정의가 바뀔 때가 됐다는 게 요즘 영화 쪽 고민인 것 같아요. 또 하나는 ‘나는 촬영감독이 되고 싶은 건가, 촬영팀으로서 일을 하고 싶은 건가’ 해요. 옛날엔 다들 감독이 되고 싶으니까 밑바닥에서부터 일해 왔지만 요즘은 전문 조수라는 개념이 생겼어요. 할리우드 같은 경우에는 이미 분업화, 세분화가 다 돼 있어서 무조건 전부 다 감독이 되려는 게 아니더라고요.”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344_636.jpg

사진 6) 경남·서울 로케 단편영화 촬영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347_2008.jpg
사진 7) 촬영 현장에서 이시화 씨 



‘이 영화 좋다’는 작품을 함께 만들고 싶어


그의 첫 상업영화 ‘오! 문희(2020)’로부터 6년이 지났다. 그동안 카메라 촬영 기술만 는 게 아니라 일을 대하는 태도도 달라졌다.

“옛날에는 무지막지하게 너무 가고 싶어 한 현장인데 지금은 그냥 매번 바뀌는 직장 같은 개념이에요.(웃음) 그래도 좋아요. 재밌어요. 항상 기대되고. 다만 이제 점점 포지션이 올라가고 해야 할 일이나 책임이 커져서 ‘어쨌든 제대로 잘하자’면서 일하고 있어요.”

시화 씨가 생각하는 촬영팀의 핵심 역량은 소통능력이다. 

“봤을 때 ‘이 영화 좋다’는 작품을 다 같이 만들고 싶어요. 현장에 있으면 다들 예민해지고 힘드니까 얼굴 붉히지 않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현장에서 만든 작품이요. 만든 사람도 보람을 느끼는 작품을….”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397_9135.jpg
사진 8) 촬영 현장에서 이시화 씨 


791b7117600d0848d5c379e2de2f2929_1693220467_967.jpg
사진 9) '창밖은 겨울(2022)' 촬영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