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공감 [여기, 어때?] 놀면서 배우는 문화예술 -경남 문화예술교육 공간-
페이지 정보
vol. 60 / 24-06-24 글 서영무 / 사진 제공본문
놀면서 배우는 문화예술 -경남 문화예술교육 공간-
여가를 제대로 즐기는 법,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는 법, 이웃과 더불어 지내는 법 등을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그곳은 일상 속에서 즐기며 배울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경남 문화예술교육 공간이다.
이렇게 문화예술의 접근성을 높이고 문화예술로 소통하는 경남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소개한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도내 가족 단위 건전한 여가문화를 활성화하고,
일상 속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
[ 정수예술촌 ]
진주 이반성면 옛 정수초등학교 건물에 자리 잡은 예술 공동체이다.
1993년 폐교 후 온기를 잃었던 학교 건물은 지역 예술인들의 예술세계를 꽃피우는 무대로 탈바꿈되어 자생적으로 운영되는 예술 창작 공간이다.
-교육 프로그램-
▶ 토요 예술촌 아트캠핑
정수예술촌의 자연과 캠핑을 주제로, 가족이 함께 조그만 텐트를 만들고 소품 제작 체험을 하면서 추억을 만들어 나가는 프로그램이다. 가족이 만든 미니 텐트 속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고, 예술가와 함께하는 예술 체험을 통해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감각도 피어나는 주말 놀이터를 지향한다.
◉ 주최·주관: 정수예술촌
◉ 후원: 경상남도,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오봉산로 873
◉ 문의: 055-758-7255
[창원시 김달진문학관]
시인이자 한학자이며, 승려이자 교육자로서 평생을 살아 온, 김달진 선생의 고매한 문학정신을 토대로 자라나는 세대들의 정서 함양에 기여하고자 2005년에 개관했다.
-교육 프로그램-
▶ 어린이작가 꿈다락 교실(스토리텔러 양성)
창원시 진해구 동부지역(농어촌 및 신도시 아파트 밀집지역) 어린이를 중심으로,
창조성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것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예술적 창조성과 문화 콘텐츠 개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특히, 지역 문화자산을 1차 이야기 자료로 삼아, 아이들의 상상력을 발휘케 함으로써,
제2의 스토리를 만들어 내는 창의적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 주최·주관: 창원시김달진문학관
◉ 후원: 경상남도,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주소: 경남 창원시 진해구 소사로 59번길 13(소사동 43)
◉ 문의: 055-547-2623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은 지역 공동체 의식 강화 및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변화하는 지역사회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
[고성 도예예술촌]
고성도예예술촌은 수로요·보천도예창조학교 공간을 활용하여 창작, 교육, 체험, 전시 등의 공예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 및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다.
-교육 프로그램-
▶ 도자기 맹그는 날
흙과 함께 다양한 도자공예품 제작 및 창작활동으로 공감하며 소통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들이 도자기 선정에서부터 밑그림 작업, 색칠 등 모든 작업을 직접 선택해 자신만의 도자기를 만들어 나가며 창의력 증진에 기여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들은 전시하여 지역민들과 공유한다. 도자기에 대해 하나씩 배워 가면서 풍성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다.
◉ 주최·주관: 고성도예예술촌
◉ 후원: 경상남도,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주소: 경남 고성군 구만면 영회로 1749 도예예술촌
◉ 문의: 0507-1414-4244
유아 문화예술교육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도내 문화시설의 주요 콘텐츠와 연계해
예술적으로 특화된 3 ~ 5세 유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은 남강댐 건설로 수몰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청동기 시대 마을 유적인 대평 유적의 위치에 자리 잡고 있는 역사문화체험 공간이다. 2009년 6월 개관하였으며 남강의 물을 품은 토기를 건축 모티브로 했다.
-교육 프로그램-
▶ 우리는 모두 하나예요
지역 내 10개 유아기관을 대상으로 청동기 유적과 유물을 토대로 역사, 미술, 음악, 놀이 요소를 접목해 청동기 시대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복합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캐릭터 ‘파랑이(새)’와 함께 청동기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주제로 공동체 의식과 청동기 시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 주최·주관: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 후원: 경상남도,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주소: 경남 진주시 대평면 호반로 1353
◉ 문의: 055-749-5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