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검색

Vol.68 발행월 : 2025. 03

close
게시물 검색

컬처&트렌드 [컬처탐색] 봄 그리고 43번째 막이 오른다 – 제43회 경남연극제

페이지 정보

vol. 68 / 25-03-28 글 정성욱 사진 (사)한국연극협회 경상남도지회 제공

본문

지난 3월 18일부터 4월 1일까지 연극의 도시 경남 거창에서 ‘제43회 경남연극제’가 열렸다. ‘연극은 인간이다’를 주제로한 (사)한국연극협회 경남지회가 주최하고 거창지부가 주관한 이번 연극제에는 경남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14개 연극단체가 참여해 다양한 무대를 선보였다. 각 극단은 저마다의 개성과 연출 방식으로 무대를 채우며, 연극이 가진 본연의 힘과 예술적 가치를 관객들에게 전달했다. 이번 연극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동시대의 사회적 이슈를 조명하는 중요한 문화예술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cfb79cc5e7118450d6c7214b730ee467_1743133829_7462.jpg
 


연극으로 물드는 봄

한 해의 시작과 함께 연극계가 기지개를 켠다. 봄이 오면 연극의 무대도 새롭게 펼쳐진다. 경남 연극인들의 창작열이 가장 뜨겁게 타오르는 무대, 경남연극제가 올해도 어김없이 막을 올렸다. 연극은 인간과 삶을 담아내는 예술이다. 배우들의 몸짓과 대사 한마디에 담긴 진심이 객석을 두드리고, 관객들은 웃고 울며 그 이야기에 동참한다. 경남연극제는 이러한 연극의 힘을 지역 곳곳에 퍼뜨리며, 예술의 가치와 감동을 나누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경남연극제는 경남 연극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1983년 진주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이후 매년 경남 곳곳에서 열리며, 경남 연극인들에게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연극 작품을 관객들에게 선보이는 장이 되어왔다. 특히, 경남연극제는 단순히 지역 연극 축제에 그치지 않는다. 올해 경남연극제는 6월 인천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연극제에 출전할 경남 대표를 선발하는 무대이기도 하다. 대상을 수상한 극단은 경남 대표로 대한민국연극제에 출전할 기회를 얻게 되며, 이는 경남 연극의 저력을 전국적으로 알릴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극단별 대표작

이번 연극제에서는 비극, 희극, 실험극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무대를 채웠다. 각 작품은 인간의 희로애락을 담아내며,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 역할을 했다. 연극이라는 형식을 통해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인간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를 유도했다. 무대 위에서 펼쳐진 감정의 소용돌이는 객석의 공기를 바꾸었고, 관객들에게 각기 다른 울림을 선사했다. 올해 경남연극제는 이러한 연극의 매력을 더욱 진하게 전달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 극단 입체

연극: 인공신장실

내용: 신장 이식을 기다리는 투석 환자들에게 기적 같은 소식이 전해진다. 그러나 이식받을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뿐. 생존의 기회를 앞에 둔 환자들은 각자의 입장과 욕망을 드러내며 갈등을 빚는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인간의 본성과 선택이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 극단 이루마

연극: 안녕이라 말하지 마

내용: 한때 무대를 빛냈던 성철은 이제 늙고 병들었지만, 여전히 연극을 향한 열정을 간직하고 있다. 자녀들의 만류에도 병원을 나와, 옛 동료들과 ‘리어왕’ 연습을 시작한다. 하지만 무대를 향한 간절함과 현실의 한계는 자꾸만 부딪친다.


cfb79cc5e7118450d6c7214b730ee467_1743133857_554.jpg
cfb79cc5e7118450d6c7214b730ee467_1743133866_044.png
 


■ 극단 현장 

연극: 반추

내용: 명망 높은 소설가와 그의 가족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오랜 시간 균열을 겪어왔다. 아버지의 냉정한 태도 속에 상처받은 가족들은 점점 멀어져 간다. 그러던 어느 날, 치매에 걸린 아버지가 대표작 ‘반추’를 다시 쓰기 시작하며 이들은 하나의 목표를 향해 모이게 된다.


■ 극단 메들리

연극: 구름이 가 닿는 곳

내용: 밀양 출신 검무 달인 기생 운심의 삶을 통해 예술과 자유를 이야기한다. 전통 예술과 시대적 억압이 충돌하는 드라마틱한 전개가 특징이다. 한 시대를 살아간 여성 예술가의 도전과 좌절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강인한 생명력을 무대 위에서 풀어낸다.


■ 극단 미소

연극: 대찬이발소

내용: 재개발을 앞둔 동네에서 50년을 지켜온 이발소 주인 대찬의 이야기다. 모두가 떠나길 권하지만, 그는 쉽게 이발소를 놓지 못한다. 가족과 동네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이 깊어지며 각자의 속내가 드러난다. 변화 속에서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하는 작품이다.


■ 창원예술극단

연극: 스위트 홈

내용: 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세 가족의 다양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허영과 트라우마, 갈등이 얽히며 집이 지닌 의미를 다각도로 탐색한다. 때로는 안식처, 때로는 전쟁터가 되는 공간에서 인물들의 갈등이 깊어진다.


■ 극단 고도

연극: 내 웨딩케이크는 누가 먹어버렸나

내용: 두 부부가 등장하며, 각자의 관계 속에서 삶과 사랑의 의미를 되짚는다. 이혼 후에도 서로를 완전히 놓지 못하는 중년 부부, 오랜 세월 함께한 노부부. 티격태격하면서도 결국 서로를 걱정하고 의지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 극단 벅수골

연극: 숲을 지키는 사람들

내용: 전쟁이 한창인 숲속, 젊은 남자는 진실과 공포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러던 중, 한 여인이 나타나 ‘전쟁은 없다’고 말한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실체인가, 아니면 만들어진 공포인가. 보이지 않는 두려움이 어떻게 사람을 조종하는지를 보여준다.


■ 극단 나비

연극: 내가 가장 예뻤을 때

내용: 딸이 성공하길 바라면서도 결혼을 통해 안정된 삶을 살길 원하는 엄마와, 오디션 준비에 집중하며 결혼에 관심 없는 희윤 사이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른다. 서로의 선택을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가족과 사랑 그리고 독립에 대한 고민이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 극단 아시랑

연극: 그대는 봄

내용: 오랜 세월을 함께한 세 할머니는 다투면서도 서로에게 가장 든든한 존재다. 치매에 걸린 친구를 위해 나머지 두 사람이 노력하지만, 세월 앞에서 점점 무력해진다. 자식들에게 외면받아도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는 모습이 따뜻한 감동을 준다.


■ 극단 예도

연극: 0.72 청년시대

내용: 투자 실패와 이혼으로 부모 집에 머무는 청년들이 현실을 고민한다. 결혼과 출산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다가오지만, 사랑만큼은 포기할 수 없다. 청년 세대의 현실을 담백하게 그려내며, 따뜻한 위로를 전하는 작품이다.


■ 극단 문화모임광대

연극: 웅녀펜션

내용: 지리산의 낡은 펜션 그리고 그곳을 떠나지 않는 야생 곰. 곰을 내쫓으려는 펜션 주인, 보호하려는 연구팀, 없애려는 군수까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얽히며 소동이 벌어진다. 하지만 이 곰이 단순한 야생동물이 아니라는 사실이 점점 드러나며, 이야기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 극단 객석과 무대

연극: 모래를 위한 성

내용: 권태를 벗어나기 위해 결혼을 선택한 하나와 영일. 하지만 둘의 관계는 기대와 달리 점점 공허해진다. 여행지에서 만난 또 다른 커플과 얽히며, 사랑과 관계의 본질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진다. 익숙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환경과 규칙을 만들지만, 결국 그 모든 것이 허상임을 깨닫게 된다.


■ 극단 장자번덕

연극: 바보처럼 바보같이

내용: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두 청년, 가진 것보다 꿈이 많은 그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현실은 팍팍하고, 세상은 헬조선이라 불리지만, 이들은 여전히 웃으며 나아간다. 작은 푸드트럭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인간 군상의 이야기 속에서, 경쟁보다 공존이 더 큰 가치임을 보여준다.


cfb79cc5e7118450d6c7214b730ee467_1743133881_2008.JPG
cfb79cc5e7118450d6c7214b730ee467_1743133887_9745.jpg
 




경남연극제가 남긴 울림

극장은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관객과 배우가 함께 호흡하는 공간이다.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서사는 객석과 맞닿아 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경남연극제는 일방적 감상이 아니라, 관객과 창작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다. 이번 연극제는 다양한 작품들이 무대에 오르며, 연극이 담을 수 있는 감정과 메시지를 폭넓게 선보였다. 전통적인 희곡부터 현대적 해석을 가미한 창작극까지 다채로운 레퍼토리가 마련되어 관객들에게 새로운 연극적 경험을 제공했다. 또한, 극단별 개성과 연출력이 돋보이며, 각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가 각기 다른 색채로 관객들에게 전달되었다. 경남연극제는 단순한 공연 축제를 넘어, 연극이 가진 힘과 예술성을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번 연극제 역시 경남 연극인들에게는 창작과 발표의 기회를, 관객들에게는 연극이 주는 깊은 감동을 선사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었다. 앞으로도 경남연극제가 더욱 성장하고 발전하여, 경남 연극의 저력을 널리 알리는 문화예술 축제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